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번식기 끝난 수사슴, 큰 뿔 왜 달고 다닐까

등록 2018-09-04 17:16수정 2018-09-04 22:32

[애니멀피플]
늑대는 뿔 탈락 수컷 집중 사냥, 죽지 않으려면 힘들어도 유지
일찍 뿔 뗄수록 다음 번식기 유리…늑대냐 번식이냐 딜레마
북아메리카 엘크 수컷이 커다란 뿔을 과시하고 있다. 큰 뿔은 번식뿐 아니라 포식자인 늑대를 막는 무기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북아메리카 엘크 수컷이 커다란 뿔을 과시하고 있다. 큰 뿔은 번식뿐 아니라 포식자인 늑대를 막는 무기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발정기를 맞은 수사슴은 거대한 뿔을 앞세워 암컷을 차지하려는 싸움을 벌인다. 뿔의 크기는 수사슴의 싸움 능력을 보여주는 정직한 잣대다. 그러나 번식기가 끝난 뒤 거대한 뿔은 무겁고 귀찮은 군더더기일 뿐이다. 수사슴의 뿔은 이듬해 3월이 되어서야 떨어져 나가고 그 자리에서 작은 새로운 뿔이 자란다. 왜 사슴은 겨우내 무거운 뿔을 이고 다닐까.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는 복원한 늑대 무리가 8종의 발굽 동물을 사냥한다. 늑대가 가장 선호하는 사냥감은 아시아의 말사슴과 비슷한 북아메리카 엘크이다. 미국 연구자들이 2004∼2016년 동안 늑대가 엘크를 사냥한 기록을 분석했더니 흥미로운 사실이 나타났다. 뿔이 탈락한 수컷 성체가 포함된 엘크 무리는 그렇지 않은 무리보다 늑대에 공격당할 확률이 3.6배나 높았다. 다시 말해 늑대는 뿔을 버린 엘크를 표적으로 삼는다. 수사슴 뿔은 늑대의 공격을 막는 무기인 셈이다.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늑대 무리가 외톨이 엘크 수컷을 공격하고 있다. 엘크는 늑대의 단골 표적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 늑대 무리가 외톨이 엘크 수컷을 공격하고 있다. 엘크는 늑대의 단골 표적이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그렇다면 왜 엘크 수컷은 이처럼 소중한 뿔을 탈락시키는 걸까. 여기엔 단지 무겁고 번거로운 것을 폐기하는 것보다 중요한 이유가 있다. 뿔을 일찍 탈락시킨 엘크일수록 새 뿔이 먼저 돋아나고 번식기인 가을에 더 큰 뿔로 자란다. 뿔 교체를 서두를수록 번식기의 승자가 될 확률이 커지는 셈이다.

결국 엘크 수컷은 딜레마에 빠진다. 내년 번식기를 위해 뿔을 일찍 버릴 것인가, 아니면 늑대에게 붙잡혀 죽지 않기 위해 뿔을 늦게까지 달고 다닐 것인가. 사슴이 결단을 내리는 건 아니다. 늑대의 포식압이 얼마나 센가에 따라 자연이 그 시기를 결정할 뿐이다.

수컷 엘크와 늑대의 관계로 나타낸 일 년. 메츠 외 (2018) ‘네이처 생태 및 진화’ 제공.
수컷 엘크와 늑대의 관계로 나타낸 일 년. 메츠 외 (2018) ‘네이처 생태 및 진화’ 제공.
연구자들은 “큰 뿔로 인한 혜택이 가장 큰 나이 많고 영양 상태가 좋은 수컷이 가장 일찍 뿔을 버리고 늑대 위험을 감수한다”라고 밝혔다. 짝짓기 가능성이 거의 없는 어린 수컷은 당연히 뿔 탈락 시기가 가장 늦다. 뿔을 일찍 포기한 가장 힘센 수컷이 늑대의 먹이가 된다. 연구자들은 “이런 현상은 무리 가운데 영양 상태가 가장 나쁜 개체부터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는 통념과 어긋난다”며 “과장된 성 선택 무기가 포식자를 물리치는 2차 기능을 한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라고 밝혔다.

늑대는 엘크를 겨우내 집중적으로 사냥한다. 엘크가 번식기부터 5달 이상 거추장스러운 뿔을 달고 다니는 이유는 바로 늑대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다. 그러나 3월이 되면 번식을 위한 결단을 내리게 되고 2∼3달에 걸쳐 뿔을 교체한다.

늑대가 죽인 엘크 사체를 코요테와 까치가 먹고 있다. 겨울철 엘크는 늑대의 집중적인 사냥 대상이다.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늑대가 죽인 엘크 사체를 코요테와 까치가 먹고 있다. 겨울철 엘크는 늑대의 집중적인 사냥 대상이다. 게티이미지 뱅크 제공.
뿔이 엘크의 방어 무기라는 사실은 다른 사슴과 비교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고 연구자들은 밝혔다. 무스는 엘크보다 뿔을 다는 기간이 3달 짧은데, 거대한 몸집 자체가 방어 수단이기 때문이다. 순록은 번식기 직후 뿔을 떼어내고 빠른 속도로 늑대가 없는 지역으로 이동하는 방법을 택한다.

이 연구는 4일 과학저널 ‘네이처 생태 및 진화’에 실렸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Matthew C. Metz et al, Predation shapes the evolutionary traits of cervid weapons, Nature ecology & evolution, https://doi.org/10.1038/s41559-018-0657-5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