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생태와진화

“전갈 클수록 좋아”…‘인디아나 존스’ 주인공 대사 입증됐다

등록 2022-05-02 10:02수정 2022-05-02 10:26

[애니멀피플]
큰 전갈은 집게의 힘으로, 작은 전갈은 독으로 사냥·방어
아시아 열대림에 사는 거대 전갈 자이언트 블루는 몸 길이가 10∼12㎝에 이르지만 애완동물로 기른다. 찔리면 아프고 물린 부위가 약간 마비되지만 치명적이진 않다. 게티이미지뱅크
아시아 열대림에 사는 거대 전갈 자이언트 블루는 몸 길이가 10∼12㎝에 이르지만 애완동물로 기른다. 찔리면 아프고 물린 부위가 약간 마비되지만 치명적이진 않다. 게티이미지뱅크

2008년 상영된 영화 ‘인디아나 존스: 크리스탈 해골의 왕국’에서 전갈은 관객의 비명을 끌어내는 노릇을 톡톡히 한다. 이때 주인공은 “전갈은 클수록 좋아”라는 말을 남긴다. 아일랜드 국립대 연구자들은 이 말이 그냥 지나가는 말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연구자들이 다양한 계통의 전갈 36종을 골라 몸과 집게의 크기와 형태, 독성의 정도 등을 조사해 비교했다. 그랬더니 큰 전갈일수록 독성이 약했고 집게도 크고 두터운 것보다 얇고 길수록 맹독을 띠었다. 이 연구는 과학저널 ‘독물’ 최근호에 실렸다. 교신저자인 케빈 힐리 박사는 “오락영화에서 나온 금언이지만 거기엔 훌륭한 진화적 이유가 담겨 있으며 중요한 의학적 의미도 있다”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전갈의 하나인 데스스토커. 남아프리카와 중동에 서식하며 몸길이가 5∼6㎝에 지나지 않지만 독침으로 강력한 신경독을 분비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세계에서 가장 치명적인 독성을 지닌 전갈의 하나인 데스스토커. 남아프리카와 중동에 서식하며 몸길이가 5∼6㎝에 지나지 않지만 독침으로 강력한 신경독을 분비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전갈에 쏘이는 사람은 중남미 등 세계에서 해마다 120만 명에 이르며 그 가운데 3000명 이상이 숨진다. 전갈에 쏘이면 통증, 마비, 근육 경련, 침 흘리기, 부정맥 등의 증상을 보이며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의사는 환자가 얼마나 맹독성 전갈에 쏘였는지 알아야 제대로 처치를 할 터이지만 대개 환자는 어떤 종의 전갈이 공격했는지 알지 못한다. 연구에 참여한 마이클 듀곤 박사는 “전갈에 쏘여 심각한 증상을 보이는 입원환자 대부분은 15살 이하의 어린이다. 어떤 종류의 전갈이 쏘았는지 아는 게 꼭 필요하지만 이때 ‘큰 전갈이 좋은 것’이란 간단한 규칙은 목숨을 구하는 첫걸음이 된다”고 말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의 인구 밀집지에서 바퀴 등을 잡아먹으며 급증해 큰 사회문제가 된 노랑전갈. 두꺼비가 천적으로 드러났다. 자헤지 외 (2020) ‘톡시콘’ 제공.
브라질 상파울루의 인구 밀집지에서 바퀴 등을 잡아먹으며 급증해 큰 사회문제가 된 노랑전갈. 두꺼비가 천적으로 드러났다. 자헤지 외 (2020) ‘톡시콘’ 제공.

연구 결과 길이 5∼7㎝로 조사 대상 가운데 가장 작은 브라질의 노랑전갈은 손바닥만 한 아프리카의 하도제네스 전갈보다 독성이 100배나 강했다. 남미에서 가장 위험한 전갈인 노랑전갈은 브라질 상파울루 시에서 2018년 14만명이 쏘여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기도 했다(▶브라질 도심 출몰 ‘전갈 공포’, 두꺼비로 잠재울까).

또 집게의 크기도 독성과 관련이 있었는데 조사 대상 중 집게가 가장 작은 남아프리카 굵은꼬리전갈은 거대한 집게를 휘두르는 이스라엘 골드전갈보다 10배나 더 치명적이었다. 골드전갈로 인한 사망 기록은 없다.

연구자들은 전갈이 먹이를 사냥하고 천적으로부터 방어하는데 집게와 독침을 모두 쓰는데 이들 무기 사이에 진화적 주고받기 관계가 벌어졌다고 밝혔다. 큰 전갈은 거대한 집게를 만들어 유지하는 데 많은 에너지를 쓰기 때문에 강력한 화학무기를 준비할 여유가 없다. 반대로 작은 몸집의 전갈은 강력한 독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힐리 박사는 “데스스토커처럼 가장 위험한 전갈은 비교적 작다. 반대로 하도제네스 전갈처럼 가장 큰 전갈의 독은 그저 살짝 아프게 할 뿐”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의 거대 전갈인 하도제네스 전갈. 사냥과 방어에는 독침보다 큰 집게를 이용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아프리카의 거대 전갈인 하도제네스 전갈. 사냥과 방어에는 독침보다 큰 집게를 이용한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전갈과 마찬가지로 거미도 작을수록 독이 강하다. 거대한 타란툴라가 크고 날카로운 이빨에 견줘 독샘은 미미했지만 치명적인 과부거미는 몸은 작아도 독샘은 잘 발달해 있다. 그러나 독뱀과 독이 없는 뱀으로 계통이 오래전 갈린 뱀에서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인용 논문: Toxins, DOI: 10.3390/toxins14030219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