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반려동물

개는 배설할 때 왜 빙빙 돌까

등록 2019-02-15 11:06수정 2019-02-15 15:38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때 흔적…나침반처럼 지자기 감지한 자세 주장 유력
개가 배설하기 전 빙빙 돌며 방향을 잡는 것은 나침반이 회전하며 남북 방향을 가리키는 것과 같다는 가설도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개가 배설하기 전 빙빙 돌며 방향을 잡는 것은 나침반이 회전하며 남북 방향을 가리키는 것과 같다는 가설도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개는 자리에 눕거나 배설을 하기 전 종종 제자리에서 빙빙 도는 행동을 한다. 간단하지만 왜 그런지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는 수수께끼 행동이다.

먼저 자리를 잡고 눕기 전 행동에 대해서는 가축이 되기 전 야생동물 때의 흔적이란 주장이 유력하다. 주변을 살펴 위험이 없는지 확인하고 잠자리에서 뱀이나 독충을 쫓아내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또 바닥에 자신의 영역임을 표시하려는 행동이라는 주장도 있다. 풀과 나뭇잎을 꺾고 뭉갠 뒤 발바닥의 분비샘으로 자신의 냄새를 묻히는 습관이란 설명이다. 좀 더 현실적으로, 잠자리를 고르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평평한 잠자리와 울퉁불퉁한 잠자리에서 실험했더니 후자에서 더 자주 도는 행동을 보였다는 실험 결과도 있다.

배설 때 도는 행동도 미스터리다. 그럴듯한 설명은 개 입장에서 배설은 다른 개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중요한 소통수단이란 것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자신의 포스트를 남기듯, 으슥한 곳보다는 주변에서 잘 보이는 장소를 골라야 한다. 엉거주춤한 자세에서 공격받지 않도록 주변을 살필 필요도 있다.

체코와 독일 연구자들이 개의 배설 자세를 조사한 결과 지자기 방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니 리켄, 부르다 외 (2013) ‘동물학 프런티어’ 제공.
체코와 독일 연구자들이 개의 배설 자세를 조사한 결과 지자기 방향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니 리켄, 부르다 외 (2013) ‘동물학 프런티어’ 제공.
이와 관련해서는 거의 유일하게 과학적 연구결과가 있다. 놀랍게도 그 결론은 개가 지구자기장의 방향에 맞춰 자세를 잡는다는 것이다. 히네크 부르다 체코 생명과학대 교수 등 체코와 독일 연구자들은 2013년 과학저널 ‘동물학 프런티어’에 실린 논문에서 37개 품종의 개 70마리를 공터에 풀어놓고 배설 자세를 2년 동안 관찰한 결과를 밝혔다. 무려 1893번의 대변과 5582번의 소변 자세를 당시의 지자기 위치, 태양폭풍에 의한 지자기 교란 여부 등을 고려해 분석했다. 지자기가 안정된 날 개들은 마치 나침반이 빙빙 돌다 남북을 가리키듯 지자기의 남북 방향을 향했다. 다리를 들어 오줌을 누는 수캐들에서는 이런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같은 연구자들은 2008년에 이미 전 세계 위성사진을 분석해 풀 뜯거나 쉬는 소와 사슴도 지자기의 남·북 방향으로 자세를 잡는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체코 장터에 내놓은 잉어 활어와 야생 멧돼지에서도 그런 현상을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지자기에 민감한 개가 빙빙 도는 것은 사람이 등산하다 자신의 위치를 가늠하기 위해 지도를 보는 것과 비슷한 행동일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렇지만 왜 배설할 때 위치를 조율해야 하는지, 또 그런 자세가 편한지 등은 여전히 수수께끼다.

■ 기사가 인용한 논문 원문 정보:

Hart et al. Dogs are sensitive to small variations of the Earth’s magnetic field, Frontiers in Zoology 2013, 10:80 http://www.frontiersinzoology.com/content/10/1/80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누워서 하늘로 오줌 쏘는 분홍돌고래…영역 표시일까 놀이일까 1.

누워서 하늘로 오줌 쏘는 분홍돌고래…영역 표시일까 놀이일까

인도네시아 열대어, 통영 앞바다까지 올라왔다 2.

인도네시아 열대어, 통영 앞바다까지 올라왔다

우아한 겨울 손님 흑두루미, 전세계 절반이 순천만 찾는다 3.

우아한 겨울 손님 흑두루미, 전세계 절반이 순천만 찾는다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4.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5.

새우가 바퀴벌레 ‘조상’이라던데, 사실인가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